오늘은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OTT 플랫폼 서비스 종류들와 이용요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TT 란?
OTT는 'Over The Top'의 약어로 인터넷을 통해 영화, TV 프로그램, 음악, 동영상, 스포츠 등 다양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식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를 입니다. OTT 서비스는 중개자나 중간 단말기 없이 소비자에게 직접 컨텐츠를 전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OTT 서비스로는 넷플릭스 (Netflix), 왓챠 플레이 (Watcha Play), 웨이브 (Wavve), 티빙 (Tving), 디즈니플러스 (Disney Plus), 쿠팡 플레이 (Coupang Play), 카카오TV (Kakao TV) 등이 있습니다.
OTT 서비스 첫 도입시기
한국에서 OTT 서비스 첫 도입 시기는 2011년도입니다. 통신사 SK Telecom이 개발한 'Oksusu'라는 서비스가 첫 번째였고 주로 모바일과 웹 기반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2013년에는 경쟁사인 KT에서 'Olleh tv mobile'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다른 통신사들도 OTT 서비스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한국의 OTT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며 현재는 다양한 플랫폼들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한국 주요 OTT 플랫롬 서비스 종류
넷플릭스 (Netflix)
대표적인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에는 2016년도에 설립되어 서비스 운영을 시작하게 되었고 드라마와 영화 뿐만 아니라 국제 콘텐츠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작 작품 및 글로벌 영어 자막 제공으로 국제 시청층에도 인기가 높습니다. 요금제는 광고형 베이직 (월 5,500원) 부터 베이직 (월 9,500원), 스탠다드 (월 13,000원) , 프리미엄 (월 17,000원)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OTT 상품 중 요금제 가격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왓챠 플레이 (Watcha Play)
국내에서 만든 OTT 플랫폼 서비스로 다양한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찾아 추천해주는 기능과 친구와 함께 채팅하며 볼 수 있는 왓챠 파티라는 흥미로운 기능을 지원하고 가지고 있습니다. 요금제는 베이직 (월 7,900원), 프리미엄 (월 13,000원) 으로 2 가지 요금제가 있습니다.
웨이브 (Wavve)
SK 텔레콤과 지상파 4사가 합작 운영하는 OTT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웨이브는 한국 최초로 나왔던 Oksusu와 Pooq을 통합하여 2019년도에 출시되었고, KBS, MBS, SBS, EBS, 등의 지상파 패널과 JTBC, TV조선, 채널A 등의 종편 채널, 디즈니, 애니맥스 등의 유료 채널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독접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요금제는 베이직 (월 7,900원), 스탠다드 (월 10,900원), 프리미엄 (월 13,900원) 으로 3 가지의 요금제로 나뉘며, 연간 요금제로 이용할 경우 16%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티빙 (Tving)
CJ ENM이 운영하는 플랫폼으로, 실시간 TV 채널과 함께 한국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영화 등을 제공합니다. 요금제는 웨이브와 동일하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금 또 동일하나, 연간 요금제를 이용할 경우 티빙은 41% 할인 혜택 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 (Disney +) 디즈니의 OTT 서비스로,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만든 영화와 TV 시리즈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디즈니 영화와 TV시리즈를 빠르게 감상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요금제는 단 하나로 월 9,900원이며, 디즈니 플러스 역시 연간 이용권 이용시16% 할인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쿠팡 주식회사에서 만든 OTT 플랫폼 서비스로, 쿠팡 와우회원이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아주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 쿵팡 와우회원이 아닌 경우 월 4,990원 요금제로 접근하기 쉬운 금액으로 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쿠팡 플레이는 다른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독점 해외 콘텐츠를 다양하게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 있으며, QR코드 스캔 방식으로 빠른 로그인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애플 TV, 카카오 TV, 뷰 (Viu), 시즌 (Seezn) 등의 OTT 플랫폼 서비스가 있는데 이건 다음번에 다시 돌아와 소개하기로 하겠습니다. 정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OTT 서비스 사용 전이거나 다음 글에는 오늘 소개한 OTT서비스 회사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다루면서 각 특징과 이용 방법 등에 대한 주제로 가지고 오겠습니다.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T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 (Disney +)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03 |
---|---|
OTT 플랫폼 넷플릭스 (Netflix) 회사에 관한 이야기 (0) | 2023.08.31 |